본문 바로가기
취향의 발견/생활 속 꿀정보

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? (상황별 맞춤 금액💰)

by 쇼요 2024. 11. 15.

 

11월이 결혼식 시즌이라 축의금 고민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

저도 이번주에 오랜만에 결혼식을 앞두고 축의금을 찾아보다가 필요할 것 같아 정리해봐요!

 

"이 정도면 될까?" "이러다 돈주머니 터지는 거 아닐까?" 저도 그랬답니다 😅

오늘은 제가 직접 겪어보고 모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황별 적정 축의금을 알려드릴게요!

 

 

 

 

 💝 기본 축의금 가이드라인

 

1. 관계별 기본 축의금

- 일반 지인/동료: 5만원~10만원

- 친한 친구: 10만원~15만원

- 가까운 친척: 15만원~30만원

- 사촌/조카: 20만원~30만원

- 형제자매: 30만원~50만원

 

2. 특수 관계 축의금

- 직장 상사: 10만원~15만원

- 거래처 관계자: 10만원~20만원

- 학교 은사님: 10만원~15만원

- 대학 선후배: 7만원~10만원

 

🤔 상황별 맞춤 가이드

 

1. 직장인의 경우

👔 같은 부서 동료

- 평소 친분 낮음: 5만원

- 밥도 가끔 먹는 사이: 7만원

- 자주 어울리는 친한 동료: 10만원

 

2. 학교 동창의 경우

🎓 초/중/고 동창

- 단순 동창: 5만원

- 친한 동창: 10만원

- 절친한 친구: 15만원

 

🎓 대학교 동기/선후배

- 같은 과 동기: 7만원

- 친한 동기: 10만원

- 선후배: 5만원~7만원

- 동아리 친구: 7만원~10만원

 

3. 가족/친척의 경우

👨‍👩‍👧‍👦 사촌/조카 결혼식

- 평소 왕래 거의 없음: 15만원

- 가끔 만나는 사이: 20만원

- 자주 만나는 친한 사이: 30만원

 

🏠 친가/외가 구분

- 친가 조카: +5만원 정도 상향

- 외가 조카: 기본 축의금 기준

 

💡 상황별 가감 요소

 

1. 축의금 올려야 할 때

- 호텔 결혼식: +5만원

- 결혼식에 내 배우자도 참석: +5만원

- 최근 받은 축의금이 있는 경우: 받은 금액 참고

 

 

✍️ 축의금 봉투 작성법

 

기본 규칙

1. 이름은 정자로 깔끔하게

2. 축하의 마음을 담은 문구 추가

3. 연락처 기재 필수

4. 직함이나 소속 표기

 

추천 문구

- "두 분의 앞날에 축복이 가득하기를"

- "늘 행복이 가득한 가정 이루시길"

- "새로운 시작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"

 

🎁 현명한 축의금 준비 꿀팁

 

- 결혼식 2-3일 전 은행 방문

- 새 돈으로 준비

- 예비용 추가 준비

 

금액은 참고용이며, 지역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있습니다.

 

 

 

저도 결혼식 준비하다 보니, 돈도 찾으러 가야하고 현금 준비하는 것 부터 만만치 않네요.ㅎㅎ

그래도 축의금은 정성과 축하의 마음이 중요한거니까!

무리해서 과한 축의금을 준비하기보다는, 자신의 상황에 맞게 진심을 담아 준비하시는 게 좋아요 😊

 

여러분의 축의금 고민이 조금이나마 해결되셨길 바라며, 

즐거운 결혼식 참석되시길 바랄게요!